2월 27, 2023 3D STUDIO MOA

MIB 500 촬영

플라워 센터피스 3D스캔

이번 회차에선 평소 촬영하던 간단한 형태의 사물 대신 좀 더 복잡한 구조의 사물 촬영 방법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8회차에 설명했던 광택 재질 사물 촬영과 마찬가지로 MIB 500 장비 사용의 또 다른 심화과정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촬영 예시 샘플로는 플라워 센터피스를 사용했습니다.

MIB CONTROL에서 일반적인 촬영 세팅인 회전 10도 / 정지 3초 / 반복 36회로 촬영을 진행하면 사진은 180장이 나오게 됩니다. 이 사진을 사용한 Reality Capture의 Normal Detail 작업결과를 아래 예시 사진에서 살펴보겠습니다.

위의 왼쪽 예시 사진을 살펴보면 플라워 센터피스의 전체적인 실루엣은 어느정도 표현되었지만 오른쪽 사진처럼 물체 표면을 확대해보면 디테일이 많이 떨어진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잎사귀 표면이 많이 뭉개져 있어 형태를 확인할 수 없고 얇은 나뭇가지는 표현되지 않아 퀄리티가 상당히 낮게 표현된 모습입니다. 이런 문제점을 보완하고 퀄리티를 높이기 위해서는 사진을 추가해야 하는데, 일반적인 MIB 500의 MIB CONTROL 촬영 세팅인 회전 / 반복의 설정만 조절하여 개수만 늘리는 방식으로는 표면 퀄리티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습니다.

위의 사진은 회전 10도 / 정지 3초 / 반복 36회로 촬영을 진행한 사진의 예시사진 입니다. 이런 사진이 360장, 540장, 720장 등 장수가 많아진다고 해도 전체적인 실루엣의 퀄리티만 좋아질 뿐 잎사귀, 꽃잎, 나뭇가지 등의 디테일은 크게 나아지지 않기에 다른 촬영방식으로 해결책을 찾아야 합니다.

위의 예시 사진들은 모두 MIB 500의 맨 위에 위치한 카메라인 M1 카메라에서 촬영한 사진들이며 사진 폴더가 5개로 총 5번 촬영을 진행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위의 이미지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디테일을 보완하기 위해 부족한 부분의 사진을 집중적으로(카메라 렌즈의 줌을 조절) 촬영하여 사진의 개수를 늘리는 방식입니다. 이 촬영방식을 사용할 때 꼭 주의할 점은 물체는 움직이면 안된다는 점입니다. 조금이라도 움직이게 되면 처음부터 다시 촬영을 진행해야 합니다. 그리고 사진의 장수가 늘어날수록 뒤의 Reality Capture의 작업시간이 늘어난다는 점도 숙지해야 합니다. 예시 사진에서 폴더 명을 보면 생화2는 전체적인 실루엣을 촬영한 사진이며 생화2_01은 첫번째 사진보다 확대해서 촬영한 사진, 생화2_35mm는 좀더 확대해서 위쪽부분을 촬영한 사진, 생화2_55mm와 생화2_55mm_1은 렌즈를 최대치로 확대한 것으로 아래와 윗부분을 촬영한 사진들입니다. 이렇게 해서 총 900장의 사진을 촬영했으며 작업시간의 단축을 위해 불필요한 부분의 사진은 지우고 860장의 사진만 Reality Capture 작업에 사용했습니다.

 

위의 이미지는 Reality Capture에 860장의 사진을 넣은 모습이며, 한 폴더 안에 있는 여러 개의 사진 폴더를 함께 Reality Capture에 넣고 싶을 때는 WORKFLOW에 있는 Folder 버튼을 누르고 -> 넣고 싶은 폴더를 선택 -> Include Subfolders를 체크해준 뒤 진행하면 폴더 안에 있는 하위 폴더의 모든 사진들이 Reality Capture에 담기게 됩니다. 이 후, Align을 진행합니다.

위의 Align 결과를 보면 같은 위치에 여러 장의 사진들이 겹쳐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런 식으로 사진이 정렬되어 있어야 하며, 정렬이 되지 않거나 사진의 정렬 위치가 잘못되어 있을 시에는 다시 한번 Align 작업을 하거나 MIB 500에서 재촬영을 진행해야 합니다.

860장의 사진을 이용해 Normal Detail 작업을 진행한 모습입니다. Normal Detail의 작업시간은 컴퓨터 사양에 따라 다르지만 위의 데이터는 약 2시간 정도 작업시간이 걸렸습니다. 예시 사진을 보면 아직도 전체적인 디테일이 부족한 것처럼 보이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위의 180장의 사진을 사용한 데이터보다 꽃잎, 나뭇가지 등의 주름이 조금 더 확실하게 표현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퀄리티를 높일 때는 기본 렌즈에서 줌 렌즈로 교체 후, 데이터가 부족한 부분을 집중적으로 커버해주면서 물체를 더욱 촘촘하게 촬영해 사진의 장수를 늘려 Reality Capture 작업을 진행합니다.

위의 영상들은 모두 3D프로그램 후작업을 거치지 않은 3D스캔 원본 데이터를 사용한 렌더링 영상입니다.

, , , , , , , , , , , , , , , , , , ,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