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A Imaging Booth 3D 바디 스캔 방식"
MOA Imaging Booth의 3D 전신 스캔은 두가지의 방식으로 나뉩니다. 첫번째는 고 퀄리티의 데이터를 얻기 위한 방식, 두번째는 퀄리티는 조금 떨어지지만 다양한자세를 촬영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영화 및 드라마 등 CG에 사용하는 데이터를 추출할 때 쓰는 방법으로, 퀄리티를 극대화시켜 최대한 좋은 데이터를 얻기 위해 카메라의 줌을 모델에 바짝 붙여 촬영합니다. 카메라의 줌은 촬영 컨셉, 모델 및 상황에 따라 변경됩니다.
포즈 중심의 두번째 촬영 방식
두방식의 촬영 예시를 보면 촬영 모델 사진의 여백 차이가 크게 납니다. 두번째 방식의 카메라 줌은 142개의 카메라 전부 촬영 대상을 멀리 잡는 줌을 사용했습니다. 그렇기에 포즈를 취하는데 첫번째 방식에 비해 크게 제약이 없습니다. 그러나 Photogrammetry 자체가 사진을 기반으로 텍스처를 포함한 3D 모델링을 직접 만드는 기술이기에 사진의 줌 차이로 인한 퀄리티 차이가 발생하게 됩니다.
두번째 방식으로 촬영한 사진의 원본 데이터를 보면 오돌토돌하게 올라온 표면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진데이터가 부족해서 나타난 현상으로 작업자의 모델링 후처리가 상당 부분 들어가게 됩니다.
촬영 시 주의할 점
위의 예시 사진처럼 두가지 촬영 방식 모두 너무 어두운 계열의 옷이나 밝은 계열의 옷, 그리고 반짝이는 소재는 사진 병합이 잘 되지 않기에 피해야 합니다. Photogrammetry 기술에 사용되는 기본 원리가 삼각 측량이기 때문에 각 사진의 상대적 위치와 방향을 잡을 수 있는 기본적인 포인트가 있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포인트를 잡기 힘든 소재의 경우, 사진 병합이 된다 하더라도 모델링 상태가 구멍이 나거나 퀄리티가 좋지 않아서 데이터를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포인트를 인위적으로 주면 포인트 없이 촬영하는 것 보다 기본 형태가 잡히지만, 이 역시 데이터가 깔끔하지는 않습니다. 이러한 데이터를 사용할 경우 3D모델링 작업자의 후처리가 많이 들어가야 합니다.
위의 예시처럼 밝은 계열의 옷이지만 무리없이 촬영되는 종류도 있습니다. 털옷이나 퍼 같은 경우 모(毛)가 너무 길지만 않다면 거의 촬영이 가능하며, 어두운 계열의 의상도 촬영진행이 가능한 편입니다. 앞서 설명했던 어려움과 여러가지 변수가 있을 수 있기에 반드시 촬영 전 상담하신 후 진행하시길 바랍니다.